
- 국기 태권도
- 태권도 의미
정의
태권도는 호신과 자아실현을 목적으로 타격방식 차기에 특화된 맨손 방어와 공격 기술을 수련하는 무예스포츠이다. 이 정의에는 태권도의 목적, 기술, 수련, 자기 이해로서 무예스포츠 네 요소가 포함돼 있다.

목적
태권도는 일차적으로 격투 기술이다. 우리가 격투 기술을 배우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불의의 공격으로부터 자기 자신을 보호가 위함이다. 이렇게 자기 보호(호신)를 목적으로 시작된 태권도 수련은 단계가 높아짐에 따라 자신의 모든 가능성을 실현하는 일, 즉 자아를 실현하는 일로 그 목적을 확장하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태권도 수련의 목적은 호신과 자아실현이라고 할 수 있다.
기술
태권도는 ‘타격방식 차기에 특화된 맨손 방어와 공격 기술’로 이루어져 있다. 이 규정에는 태권도 기술의 다섯 가지 특징이 포함돼 있다. 태권도 기술은 (1)방어와 공격 기술 (2)맨손 기술 (3)떨어져서 겨루는 기술 (4)차기에 특화된 기술 (5)타격방식의 차기 기술 이 다섯 가지 특징을 통해 다른 무예 기술과 구별된다.
수련
태권도 기술을 연습하는 일을 수련(修鍊, practice)으로 표현하는 이유는 그것이 몸의 변화를 목적으로 하는 활동일뿐만 아니라, 수련자를 바람직한 인간으로 만들기 위해 마음의 변화도 목적으로 하는 활동이기 때문이다. 수련은‘반복 연습을 통해 기술을 덮고 있는 군더더기를 털어내어 기술이 잘 발휘될 수 있도록 단련한다’라는 의미를 지닌 단어이며, 그 궁극에는 더 나은 인간으로 성숙해간다는 목적이 함축돼 있다.
수련은 원래 도교에서 유래한 단어이며 유교의 수양이나 불교의 수행과 유사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수련은 수양 및 수행과 함께 몸과 마음을 함께 닦아 바람직한 인간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활동이다. 태권도 수련도 기술의 반복 연습을 통해 몸과 마음을 변화시키고 정신을 고양시켜, 궁극적으로 세상을 널리 이롭게 하는 사람을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의미상 도교의 수련, 유교의 수양, 불교의 수행과 크게 다르지 않은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무예스포츠
무예는 총과 대포 등 근대식 무기가 등장한 이후 전투기술로서 의미를 상실했고 점차 다른 목적을 추구하는 활동으로 변형됐다. 한국에서 무예는 한국 특유의 풍류(風流) 기질과 신바람 문화의 영향으로, 하는 사람과 보는 사람 모두에게 재미와 즐거움을 선사하는 경쟁적 유희 활동으로 변화했다.
무예의 스포츠적 특징은 20세기 중반 현대 태권도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더욱 강하게 부각됐다. 오늘날 태권도는 세계인들에게 사랑받는 올림픽 스포츠가 됐다. 태권도가 올림픽 스포츠가 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풍류와 신바람 문화가 깊이 반영된 한국의 근대 무예와 경쟁적 유희의 성격을 띤 현대 스포츠의 친화성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무예의 스포츠화는 한국 전통 무예의 근대화 과정에서 시작됐고, 현대 태권도에서 완성됐다. 그런 의미에서 태권도는 공개성, 유희성, 경쟁성, 제도화된 규칙, 탁월한 신체 능력 등을 특징으로 하는 무예스포츠라고 할 수 있다.
출처 : 국기원 태권도 교본(2021)